-
골다공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1편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3. 11. 27. 11:24반응형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오늘은 골다공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 골격계 질환입니다. 즉 뼈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기 쉬운 질환이지요. 대략 50세 이상 여성의 경우 30프로, 남성의 경우 7%가 골다공증을 앓고 있습니다.골다공증, 출처 : 최원호병원 골다공증의 진단
현재 골다공증의 진단은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습니다.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DXA를 통해 하는 법이 표준 검사법입니다. 주로 척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합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T-값이라고 하는 정상 성인 대비 골절 위험도를 비교하는 것으로 T값이 -2.5 이하일 때 골다공증이라고 진단합니다.
T 값은 대략 2^T 만큼 골절 위험이 높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골다공증은 정상인 대비 2^2.5배(대략 5.6배) 골절위험도가 높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단순 골밀도만으로 평가하기엔 골다공증을 완전히 알 수는 없습니다. 결국 골다공증의 문제는 골절이기 때문에 환자가 얼마나 골절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지도 평가가 필요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것이 바로 골절의 절대위험도로 현재는 10년 내 골절 위험도를 평가하는 FRAX를 통해 확인합니다.
FRAX 계산은 다음 사이트에서 할 수 있습니다.
https://frax.shef.ac.uk/FRAX/tool.aspx?lang=kohttps://frax.shef.ac.uk/FRAX/tool.aspx?lang=ko
frax.shef.ac.uk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골다공증의 핵심 주요 위험인자는 성장기 동안 충분한 골량을 얻지 못해 최대 골량이 낮은 것과 이후 노화와 폐경으로 인한 빠른 골소실입니다.
즉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화로 인한 뼈소실을 감소시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어렸을 때 충분한 골량을 얻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이러한 관리는 충분한 칼슘, 비타민 D 섭취와 더불어 성장기, 젊었을 때에 충분한 운동을 통해 뼈 생성을 자극해 주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 외에 흡연, 음주는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물이 뼈를 약화시킬 수 있는데 그중에서 장기간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복용은 가장 흔한 이차성 골다공증의 원인입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조골세포 증식 기능 억제, 파골세포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칼슘 흡수 억제 등 다양한 면에서 골다공증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반응형'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2편 (2) 2023.11.27 근감소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0) 2023.11.24 비타민 복용에 대해 알아보아요. (0) 2023.11.23 글루코사민, 콘드로이친 먹으면 어떨까요? (2) 2023.11.09 NSAID,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에 대해 알아보아요 (부작용) (2)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