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장 재활에 대해 알아보아요. 심장 재활의 개요.
    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8. 08:30
    반응형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오늘은 심장 재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국내 사망률 3위 심장질환

    통계청에서 발표한 2002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대한민국의 주된 사망원인은 암이 1, 뇌혈관질환이 2, 그리고 심장질환이 3위입니다. 그 세 질환 모두 재활의학에서 무척이나 관심 갖기 질환으로 특히나 최근에는 암 재활과 심장 재활이라는 학문의 발전도 많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심근 경색의 경우 걸리게 되면 급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지만 의학의 발전되면서 과거라면 손도 못쓰고 죽을 수 밖에 없었던 심장질환 환자들이 질환을 가진 채 사는 기간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심장도 재활해야 한다는 많은 의학계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심장재활이란?

    심장 재활의 정의는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를 최고의 신체적, 직업적, 심리적, 교육적 상태로 만들고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즉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가 다시 집으로 사회로 복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지요.

     

    심장 재활 대상이 되는 질환은 무엇이 있나요?

    가장 중요하고 가장 많이 의뢰되는 잘환은 바로 급성 심근경색입니다. 그 외에도 협심증이나 카테터 시술을 받은 환자, 심장 수술 환자, 심부전 및 부정맥 환자들이 심장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입니다.

     

    심장재활의 요소

    1. 환자의 생리-신체적 요소를 고려합니다.

    운동 처방, 운동치료/물리치료, 내과적 치료, 수술적 치료, 영양 치료를 모두 고려합니다. 급성기 심근경색이나 수술 후 중환자실에 있을 때부터 이후 회복되고 난 후 활동에 따른 심장 부담을 지속적을 모니터링 해야합니다.

    따라서 재활의학과 의사는 심장 전문의와 상의하여 환자의 적절한 활동 수준(심장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재활이 가능한)을 확인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계획 해야합니다. 또한 질환에 맞는 식이를 조절 해야합니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관상동맥경화증을 막기 위해 저콜레스테롤 섭취 등 식이 습관이 매우 중요하고,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심장에 부하가 가지 않게 적절한 전해질을 유지해야하는 식이도 중요합니다.

     

    2. 환자의 정신적 요소도 고려합니다.

     

    3. 환자의 직업적 요소도 고려합니다.

     

    4. 환자의 교육적 요소도 고려합니다.

    심장 질환 중 심근경색은 환자의 생활 습관과도 밀접하게 관련 있습니다. 운동 부족 및 고칼로리의 식이 습관은 심근경색의 강력한 위험인자입니다. 또한 심장재활에 있어 적절한 운동 치료 중심의 재활은 효과가 이미 증명 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환자 교육이 필요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심장재활은 무엇인지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어지는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으로 심장재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언제든지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댓글이나 방명록 남겨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by 재활의학, 대한재활의학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