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
뇌졸중 후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아요.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7. 07:00
뇌졸중 후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뇌졸중은 후에도 많은 합병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뇌는 워낙 다양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어떤 영역에 뇌졸중이 발생했느냐에 따라 잘 나타는 합병증도 역시 다르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졸중 후 합병증에 대해 알아볼게요! 인지,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 뇌졸중의 인지 및 의사소통의 장애는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병변의 크기, 위치뿐 아니라 병전에 요소들에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병전에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유병률이 높아집니다. 대략 뇌졸중 생존자의 30-50% 정도가 의사소통 및 언어 장애를 남기게 됩니다. 실어증의 경우 운동기능의 회복에 비해 느리긴 하지만 더 오랜 기간 동안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
치매,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알아보아요. 2. 증상과 치료 그리고 재활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5. 09:00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치매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그리고 치매에서 재활의학과 역할은 어떤지도 함께 알아보아요. 치매의 증상 뇌의 다양한 영역에서 기능 저하가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치매의 증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크게 증상은 인기 기능의 저하, 행동 변화, 일상생활 능력의 저하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인지 기능의 저하 인지 기능의 저하가 보이기 시작하는 환자 중 가장 초기에 보이는 인지 기능의 문제는 바로 기억장애입니다. 기억 장애는 초기 치매환자의 가장 처음, 그리고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사람이나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최근에 있었던 일을 떠올리지 못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과거의 일이나 옛날 기억은 잘 보존되지요. 이것..
-
치매,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알아보아요. 1. 정의와 원인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5. 08:00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오늘은 치매에 알아보도록 해요. 우리나라도 지속적으로 고령화가 됨에 따라서 치매 유병률이 급속도로 오르고 있습니다. 치매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노령인구가 많아지면 치매인구도 많아지는 것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국가에서도 치매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치매 국가책임제 제도를 도입하는 많은 노력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치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치매는 무엇일까요? 보통 일반인들은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을 혼동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둘은 동일한 의미가 아니며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한 유형입니다. 치매의 정의 치매는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
-
뇌졸중(Stroke)의 재활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원리와 종류 2탄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5. 02:04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재활치료의 원리와 종류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뇌가소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 뇌 가소성을 어떻게 촉진시켜 재활치료를 시행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뇌졸중 재활치료의 시작. 뇌졸중 직후 마비되었던 기능은 점차 회복되는 데 보통은 기대하는 회복의 90% 이상이 첫 3개월 이내에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기능적 회복은 환자의 노력과 재활치료를 통해서 수년 후까지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뇌졸중 후 운동기능의 회복은 대뇌의 재구성(일종의 뇌 가소성)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작업 목적이 있는 반복적 훈련을 통해서 대뇌의 재구성이 일어납니다. 즉 장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같은 학습을 통해서 새로운 대뇌 네트워크를 만드는..
-
뇌졸중(Stroke)의 재활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원리와 종류 1탄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5. 01:40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이번엔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의 원리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사실 재활의학과 입원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건 뇌졸중 환자입니다. 그 이유는 당연히도 뇌졸중에서 재활치료는 너무나도 중요하고 환자의 예후를 결정짓는 큰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죠. 현재 종합병원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 내원했을 경우 신경과나 신경외과에 입원하게 되면 며칠 이내에 재활치료를 위한 의뢰서를 작성되었고 재활치료가 시작하는지가 병원이 뇌졸중 치료를 적절하게 시행했는지에 대한 평가 요소로 들어갈 정도랍니다. 그렇다면 뇌졸중 후 재활치료는 어떠한 원리로 환자는 회복시켜주는 것일까요? 뇌경색이나 뇌출혈이 발생한 뇌 영역의 뇌세포는 죽게 됩니다. 뇌에 적절한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게 ..
-
급성 심근경색에 대해 알아보아요. 4. 예후 그리고 예방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4. 11:51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심근경색의 치료에 대해 배웠습니다. 심근경색으로 죽을 뻔한 환자를 치료하고 나서는 이제는 어떻게 될까요? (이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재활의학과는 급성기 치료 이후를 중요하게 생각하죠. 회복하는 과정, 치료를 마치고 난 환자가 다시 가정으로 사회로 돌아가는 과정에 대해 관심 갖습니다.) 심근경색의 치료 후에는 환자 앞에 무슨 일이 기다리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해요. 심근경색 환자의 예후 이렇게 급한 불을 끄고 나면 환자는 이제 어떻게 될까요? 예후에 대해 알아봅시다. 급성 심근경색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은 심장에 얼마나 많은 손상이 있는지와 응급 치료를 얼마나 빨리 받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치료를 빨리 받을수록 생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즉 골든타임이 어떤 ..
-
급성 심근경색에 대해 알아보아요. 3. 급성 심근경색의 치료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4. 08:30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지금까지 심근경색에 대해 열심히 배워왔습니다. 이제부터 정말 중요한 내용이죠. 이어서 급성 심근경색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급성 심근경색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므로 대부분의 치료는 응급실에서부터 바로 시작됩니다. 급성 심근경색이 확인되면 언제라도 심장마비가 바로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최대한 심장의 부하를 줄여주는 각종 약물을 투여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시간을 벌어야 한답니다. 급성 심근경색의 약물 치료 1. 아스피린이나 클로피도그렐과 같은 항혈소판 약물. 그리고 혈전용해제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관상동맥의 혈전이 커지는 것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이는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 2.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니트로글리세린을 사용하여 관상동맥을 넓힐 수 있..
-
급성 심근경색에 대해 알아보아요. 2.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재활맨이 말하는 팩트에 근거한 의학 이야기 2020. 6. 14. 01:19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아요. 심장은 우리 몸의 심혈관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기관입니다. 이러한 심혈관 시스템을 통해서 우리 몸의 각종 장기들에게 영양소와 산소가 가득한 혈액을 동맥을 통해 공급하게 되지요. 그런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것이 심장입니다. 하지만 심장 역시 우리 몸의 장기, 기관 중 하나입니다. 심장도 그러한 영양소와 산소가 가득한 혈액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지요. 바로 그 혈관이 관상동맥입니다. 관상동맥은 특히 심장 근육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합니다. 혈관 내 찌꺼기(플라크)가(플라크) 쌓여서 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지면 심장으로의 혈류가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완전히 멈출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심장 마비 즉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