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재활의학과와 통증.재활맨이 말하는 통증 이야기 2020. 7. 14. 01:21반응형
안녕하세요. 닥터 재활맨입니다.
통증과 인간은 뗄라야 뗄수 없는 관계입니다. 오늘은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사람은 살다 보면 아프게 마련입니다. 두통을 겪는 분도 있고 배가 아픈 복통을 겪는 분도 있습니다. 또 누군가는 걸어가다 넘어지면 부딪힌 부위에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통증은 이렇게 사람이 생활하면서 죽는 그날까지 함께 있는 일종의 생리적 현상입니다. 사실 통증을 느끼는 것은 우리의 몸이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음을 알려주는 신호이기 때문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심한 통증은 우리로 하여금 일상생활을 힘들게 하고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답니다.
재활의학과와 통증?
재활의학과는 사실 통증과도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과입니다. 보통 우리는 통증이라고 하면 어깨나, 무릎이 아픈 근골격계 통증을 쉽게 떠올리게 됩니다. 우리 몸의 근골격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해부학을 잘 알아야겠죠. 재활의학과는 이러한 근골격계 해부학에 친숙한 과이기도 합니다. 게다가 적어도 우리나라에선 정형외과의 한 분과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지요.
그뿐이 아닙니다. 재활의학과는 사람의 삶의 질에 관심이 많습니다. 또한 많은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환자들이 통증을 느끼곤 하는데 이러한 통증은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로 하여금 의지를 꺾고 재활치료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합니다. 이러니 재활의학과에선 초창기부터 통증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통증의 종류
각설하고, 이제는 왜 재활의학과가 통증을 이야기를 하는가에 대해서는 충분히 답이 되었을 것 같고 좀 더 통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통증은 크게 급성 통증과 만성 통증으로 나뉩니다. 급성 통증은 갑작스럽게 생긴 통증으로 보통 우리 몸에 외상을 입었을 때와 같이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통증으로 어떻게 보면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성 통증은 손상을 회복하는데 시간이 많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만성 통증이 지속될 경우에는 오히려 우리의 뇌는 통증에 더욱 민감해지게 됩니다. 즉 원인이 되는 손상이 제거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뇌는 약한 손상이나 혹은 그러한 손상이 없음에도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이러한 만성통증은 불면, 우울증과 동반되어 정신적으로도 힘들게 됩니다. 이러한 만성 통증에는 좀 더 의사가 적극적으로 개입을 할 필요가 있게 됩니다.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통증은 우리의 뇌가 통증에 더욱 예민해지도록 를 바꿉니다. 통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재활의학과 의사가 주로 보게 되는 통증의 종류는 3가지입니다. 보통 근육, 인대, 관절과 같은 근골격계의 문제로 발생하는 근골격계 통증,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병성 통증,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같이 중추신경계 손상 후 발생하는 중추형 통증이 있습니다.
근골격계 통증 : 오십견, 회전근개 손상이나 무릎 관절염 등. 퇴행성 질환들이나 급성 골절 후 발생하는 통증 등.
신경병성 통증 : 허리디스크, 요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요추 신경 눌림,대상포진, 손목 터널 증후군 – 보통 찌릿하다, 화끈거린다, 저리다 라고 표현을 함.
중추형 통증 : 뇌졸중 후 발생한 통증 등.통증의 치료
이러한 통증을 치료하는 데 있어 가장 먼저 시도되는 것은 약물 요법입니다. 진통 소염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또는 마약성 진통제까지 다양한 기전을 가진 각기 다른 약물 사용을 통해 효과적인 진통효과를 꾀합니다. 그 외에도 신경주사, 경막 외 주사, 관절 주사 등 주사요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물리치료나 운동치료와 같은 다양한 보존적 요법을 사용합니다. 특히나 요즘엔 운동치료는 치료뿐 아니라 통증의 재발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적절한 약물요빕이 통증치료의 키워드 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은 매우 까다로운 일입니다. 비교적 이러한 다양한 통증 환자를 많이 만나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 진료를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특히나 재활의학과는 환자의 기능 상태와 삶의 질에 관심이 많고 다양한 통증 환자군을 만나봄과 동시에 운동의 전문가로서 환자분들에게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증이라는 큰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통증에 대해 잘 이해하시면 의사와 상담하거나 설명을 들을 때 훨씬 더 쉽게 이해되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재활맨이 말하는 통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통증에 대해 알아보아요. 발목 염좌, 무지외반증,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0) 2020.07.30 오십견에 대해 알아보아요.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 (0) 2020.07.17 회전근개 손상에 대해 알아보아요. 3. 치료 (0) 2020.07.10 회전근개 손상에 대해 알아보아요. 2. 진단 (0) 2020.07.06 회전근개 손상에 대해 알아보아요. 1. 해부학과 증상 (0) 2020.07.06